프랑스의 일부 대형 마트가 470원짜리 ‘공장형 바게트’를 판매해 전통 제빵사들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일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9월 새 학기 시작과 함께 리들(Lidl), 알디(Aldi) 등 대형 마트에 29센트(약 470원)짜리 바게트가 등장했습니다. 이는 프랑스 내 빵집 바게트 평균 가격 1.09유로(약 1700원)보다 약 70%나 저렴한 금액입니다. <br /> <br />대형 마트의 이러한 초저가 전략에 프랑스 전국 제빵·제과협회(CNBP)의 도미니크 앙락 회장은 “고객 유인용 미끼”라며 “제빵업계 전체의 하향 평준화를 불러올 것”이라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 마트가 파격적인 초저가에 바게트를 판매할 수 있는 이유는 일반 빵집보다 인건비가 덜 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앙락 회장은 “빵집의 인건비는 생산 비용의 40% 이상을 차지한다”며 “수제 빵집은 반죽 시간을 더 길게 하고, 직접 모양을 만들고 현장에서 빵을 굽는다. 발효 시간에만 몇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”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대형 마트는 자동화된 공정으로 빵을 만들어 저렴한 가격에 바게트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. 앙락 회장은 “그들은 시간당 1만개의 바게트를 생산할 수 있지만 제빵사가 생산할 수 있는 빵은 하루 400∼600개에 불과하다”며 “대형 마트의 바게트 뒤엔 사람은 없고 기계만 있다”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바게트 가격에는 임대료와 전기·수도 요금 등 고정비가 약 20%를 차지하는데, 이 역시 전통 빵집 가격에 영향을 준다고 앙락 회장은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리들의 구매 담당자 토마 브라운은 RM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“우리에게 바게트는 대량 생산품이며 상당한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효율적인 운영 모델”이라고 맞섰습니다. <br /> <br />르피가로는 “공장형 바게트가 가치 사슬 전체를 파괴한다”는 우려와 관련, “전통 빵집들이 여전히 바게트 시장을 압도적으로 장악하고 있다”며 “실제 대형 유통업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바게트 시장의 9%에 불과하다”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디오 ㅣ AI 앵커 <br />제작 ㅣ 최지혜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90212154387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